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어르신들이 암보다 무섭다는 질병, '머리 속의 지우개'로 불리는 치매입니다.<br> <br>최근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치매를 겪는 환자도 늘고 있습니다.<br> <br>그런데 최근 신약이 속속 개발되면서, 난치병으로 여겨졌던 치매를 정복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> <br>세계를 보다, 김태림 기자입니다.<br><br><br>[기자]<br>볼링장에서 멋지게 스트라이크를 선보이는 남성, <br> <br>[임상시험 참가자 아내] <br>"모두가 박수를 치는데 태연한 척하는 거예요. '나 하는 거 봤지?' 이런 느낌으로." <br> <br>[짐 / 임상시험 참가자] <br>"어려운 일 아니잖아요." <br> <br> 치매 진단을 받아 치료제 임상 시험에 참여한 남성입니다. <br> <br> 평범하게 일상 생활을 하는 듯 하지만 치료제 투약 전에는 소통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. <br> <br>[임상시험 참가자 짐의 아내] <br>"(치매 진단) 당시 단어를 발음하는 것도, 딱 맞는 단어를 생각해 내는 것도 어려워했어요. 심지어 '나 대화를 못 하겠어'라고 말했죠." <br> <br> 1700여 명을 대상으로 임상한 결과 치료제 '도나네맙'이 알츠하이머 진행을 35% 늦춘다고 개발 제약사는 밝혔습니다. <br> <br> 역대 최고 성과로 미 식품의약국 FDA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 7월 '레켐비'는 사상 처음 치매치료제의 FDA 승인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 병 진행을 27% 정도 늦춘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[고든 / '레켐비' 임상 참가자] <br>"저는 발전하고 있어요. 매일 아침 일어나서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러 갑니다. 저는 매우 활동적이고, 골프도 치고 있습니다." <br> <br> 치매 극복에 한 걸음 다가선 두 치료제의 원리는 비슷합니다. <br> <br>알츠하이머의 원인은 아밀로이드 베타라는 단백질이 뇌 속에 쌓이기 때문으로 분석되는데 <br> <br>이 신약들은 아밀로이드를 제거하는 데 효능이 있다는 평가입니다.<br> <br>[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 학술지] <br>"아밀로이드 제거가 알츠하이머병의 진행 속도를 가장 늦춘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." <br> <br>지난 1907년 처음 발견된 알츠하이머병은 1980년에서야 원인 물질이 특정됐습니다. <br><br> 세계적 제약사들이 실패를 거듭한 뒤 116년 만에 등장한 치료제들입니다. <br> <br>다만, 한계는 있습니다. <br> <br>임상 결과, 뇌부종 등 부작용이 보고됐고 연 3000만 원이 넘는 약값이 부담입니다. <br> <br>또, 초기 환자에게만 효과가 있어 완전히 치료보다는 진행을 최대한 늦추는 정도입니다.<br> <br>[왕성민 /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] <br>"물질을 직접 제거하는 약이 나왔다는 것에서 좀 획기적입니다. (하지만, 알츠하이머) 진행을 멈추거나 혹은 더 뒤로 돌아가는 되돌아가는 그것을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그런 작용은 현재는 없습니다." <br> <br>전 세계 치매 환자 수는 인구 고령화 속에 빠르게 늘어 2050년 1억 3900만 명으로 예측됩니다. <br> <br> 지난 6월 레켐비는 국내 식약처에도 허가 신청서를 제출했고 국내 바이오 기업들도 신약 개발에 나서 치매 정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 김태림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방성재<br /><br /><br />김태림 기자 goblyn_mik@ichannela.com